최근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불교계와 가톨릭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천진암, 주어사와 같은 불교 사찰들이 천주교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의 역사가 소외되고 있다는 불교계의 강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불교와 가톨릭은 한국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공존해왔지만, 이번 성지화 논란은 그간 쌓아온 우호적 관계를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교적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해 성지화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성지화는 불교적 유산을 가톨릭의 역사로 재편하며 기존의 종교적 정체성을 훼손한 대표적인 사례다. 천진암은 본래 불교 사찰로서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주다 폐사된 장소로, 중요한 불교적 배경을 갖고 있다. 그러나 현재 천진암은 가톨릭 성지로 변모하면서 불교적 정체성을 완전히 상실했다. 주어사 역시 유사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지금은 천주교 순례자들이 방문하는 성지로 재편되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의도적인 행위로 보고 있으며, 천진암의 성지화 과정에서 불교적 의미가 배제되고 가톨릭적 상징물로 대체된 것이 종교 갈등을 부추겼다고 비판한다.
특히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추진하는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 조성 계획은 불교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의 전투를 위해 직접 축조에 참여한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깊이 깃든 곳이다. 그러나 천주교는 이곳을 천주교 순례길로 개발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남한산성의 불교적 유산을 의도적으로 지우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가톨릭이 불교의 역사적 공헌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신앙적 해석으로 역사를 독점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만들기 위해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천주교 성지화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천진암 성지화 과정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발견되며, 대규모 개발에 막대한 공공 자금이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예산이 특정 종교의 이익에 집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국가가 종교적 중립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명백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공공의 예산이 특정 종교의 신앙적 상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되면서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 이러한 행정 처리 방식은 종교적 편향성 논란을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공정성에도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국민이 납부한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과연 정당한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국가가 특정 종교에 편향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결론적으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신중하지 못한 접근으로 인해 종교적 갈등을 촉발하고 있으며, 이를 즉각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는 것은 의미가 있지만, 그것이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거나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은 부당하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한 장소일수록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아야 하며, 한 종교의 시각으로만 역사를 해석하고 독점하는 행태는 중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