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Me Too) 운동은 2017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성폭력 피해자들이 용기 있게 자신의 경험을 폭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운동은 권력 구조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을 폭로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사건들도 이로 인해 많은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가톨릭 교회의 문제점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문제는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은폐와 권위주의 문화로 인해 잘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성폭력 사건이 발생했을 때 교회는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를 했고, 이러한 행위는 피해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교회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렸습니다. 또한, 성직자에 대한 비판이 금기시되는 권위주의 문화는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묵살되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성폭력 사건이 교회 내부에서만 처리되면서 공정한 법적 절차가 방해되고, 투명성이 부족하여 피해자와 사회의 신뢰를 얻기 어려웠습니다.
국내 사례: 천주교 수원교구
2011년,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한만삼 신부가 남수단에서 자원봉사자인 김모 씨를 성폭행하려 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피해자는 사건 이후 오랜 시간 침묵했으나, 미투 운동의 영향을 받아 용기를 내어 사건을 폭로했습니다. 이 사건은 초기 교구의 은폐 시도 의혹과 더불어 사회적 비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문제는 현재 가톨릭신문이 기존의 기사를 내리지 않는 등 계속해서 피해자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 [관련 기사 1](https://www.catholictimes.org/197499)
- [관련 기사 2](https://www.catholictimes.org/185074)
일본 사례: 가톨릭 성직자 성폭력
일본에서도 가톨릭 성직자에 의한 성폭력 사건이 폭로되었습니다. 1977년 성폭행 피해자인 스즈키 하루미 씨는 40년이 지난 후 미투 운동의 영향을 받아 가해자인 신부와 사건을 은폐하려 한 주교구를 고발했습니다. 스즈키 씨는 가톨릭 중앙 협의회에 사건을 신고했으나, 센다이 주교구의 주교가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는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스즈키 씨는 미국의 성직자 성폭력 생존자 네트워크(SNAP)와 협력하여 일본 지부를 설립하고 대표로 활동하며, 성직자 성폭력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있습니다.
- [상세 링크](https://www.stop.or.kr/brdartcl/boardarticleView.do?brd_id=BDIDX_Y7Y7uWGG9UgPLMvyYTACEE&srch_menu_nix=5DS3dRgR&cont_idx=711)
가톨릭 및 개신교 성범죄 인정 사례
프란치스코 교황은 수녀들이 성노예로 다뤄짐을 공식 인정했습니다.
- [관련 기사](https://www.bbc.com/korean/news-47139840)
아래는 6년간 종교인 681명이 성폭력을 저질렀다는 기사입니다.
- [관련 기사](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802252239015)
성범죄자에게 처벌을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어야 합니다. 미투 운동은 가톨릭 교회 내 성폭력 문제를 폭로하고, 교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성폭력 문제와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는 건강한 사회를 형성하는 데 심각한 장애물입니다. 역사적으로 반복되어 온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제도적 개선만으로는 해결이 어렵습니다. 가톨릭 교회는 올바르지 않은 종교관을 반성하며 잘못을 인정하고 모순되는 발언과 행동을 멈추어야 합니다.